, 40%가 다시고립·은둔상태로 돌아
페이지 정보
작성자 test 작성일25-03-25 21:06 조회1회관련링크
본문
최홍일 연구원 박사고립·은둔청소년 과반이 일상 복귀를 시도했지만, 40%가 다시고립·은둔상태로 돌아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
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오늘고립·은둔청소년에 대한 첫 전국 조사인 '2024고립·은둔청소년 실태조사' 결과를 발표했습니다.
가족 또는 친구와 대화하지 않고, 일부는 방에서도 나오지 않는 국내 '고립·은둔청소년' 10명 중 7명은 현 상황에서 벗어나려는 회복 의지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.
탈고립·은둔을 시도한 비율도 절반에 달해,고립·은둔청소년이 대인관계 맺기 등에 어려움이.
[앵커] 국내 청소년 10명 가운데 3명이 집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고립과은둔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사회와 단절된 일상으로 삶의 만족도가 크게 떨어졌고, 심지어 '죽고 싶다'는 생각을 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.
최대환 앵커> 외부와 단절된 채 살아가는고립·은둔청소년들 10명 중 6명이, 죽음을 생각한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
지난해 정부가 처음으로 실시한 실태 조사의 결과가 나왔는데요.
게티이미지뱅크 가족이나 친구 등 사회적 관계가 사실상 끊어진 채 지내는고립·은둔청소년 10명 중 6명은 죽고 싶다고 생각한 적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.
이들 중 절반 이상은고립·은둔상태를 벗어나고자 시도했으나, 40%에 가까운 청소년이 재차고립.
가족이나 친구와 대화를 단절하고 집에만 있는 ‘고립·은둔청소년’의 65%는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느끼고은둔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.
10명 중 4명은 이런 상태에서 벗어나려고 시도했으나 실패했다.
25일 여성가족부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과 함께 지난해 1.
우리나라 청소년 10명 중 3명은고립·은둔상태를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고립·은둔청소년의 70%는 현재 생활을 개선하고 싶어 했으나 대부분 또다시고립·은둔상태로 돌아갔습니다.
여성가족부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오늘(25일)고립.
자료=여성가족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고립·은둔청소년 실태 파악을 위한 첫 전국 조사인 '2024고립·은둔청소년 실태조사' 결과를 25일 발표했다.
고립청소년은 긴급한 상황에서 도움을 요청하거나 정서적으로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이 없는 청소년,은둔.
픽사베이 제공 좀처럼 집 밖을 나가지 않고 사회와 단절된 채 살아가는고립·은둔청소년 5명 중 3명은 ‘죽고 싶다’고 생각한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.
또 10명 중 7명은 현재 상태에서 벗어나고 싶어 했다.
여성가족부와 한국청소년정책.
세상과 단절한채 살아가는고립·은둔청소년 이미지.
픽사베이 제공 청소년 100명 중 16명이 집 안에만 머무는 ‘은둔청소년’인 것으로 조사됐다.
사회관계를 단절한 채 살아가는 ‘고립청소년’도 12.
25일 여성가족부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과 함께.